엔트리로 쉽게 하는 데이터분석#2 - 데이터 테이블 속성 찾기
- Coding Ground
- 2024년 9월 14일
- 2분 분량
최종 수정일: 2024년 9월 18일
안녕하세요😃 코딩그라운드 서울점 강사 김은진 입니다.
지난 포스트를 통해서 엔트리를 활용하여
데이터를 수집하고전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 드렸는데요.
이번에는 데이터 시각화 들어가기 전에
해야 하는 몇 가지 과정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.
혹시 데이터 테이블의 속성이 무엇인지 아시나요?
속성은 attribute 라고도 부르는 단어로
데이터 하나에 대한 "특성" 또는 "성질"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

해당 데이터에서 속성은 '번호', '이름', '주소', '성별' 이 됩니다.
결국 하나의 데이터는 모두 번호와 이름, 주소, 성별에 대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습니다.
엔트리에서 제공해 주는 "계절별 기온" 데이터 테이블에도 "속성"이 존재합니다.
이 테이블에서 속성은 무엇일까요?
바로 연도, 연평균, 봄, 여름, 가을, 겨울로 총 4개입니다.
저는 나중에 진행할 '데이터 시각화'를 위해
속성들만 엔트리 프로그램의 변수에 저장을 해두고 싶은데요.
어떻게 저장할 수 있을까요?
일단 첫 번째로 "열번호"라는 이름의
변수를 생성하고 기본값을 1로 초기화해주세요.
두 번째로 "속성"이라는 이름의 리스트를 추가해 주세요. 리스트는 여러 개의 값을 한 번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타입입니다. 여러 개의 칸이 있는 책장이라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!
이후, 위와 같은 블록으로 조립해 주세요.
모든 속성은 테이블의 첫 번째 행(가로줄)에 있습니다.
저희는 첫 번째 행안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며 속성 하나하나를
위에서 만들어준 "속성" 리스트에 추가해 줄 거예요.
오른쪽으로 이동하기 위해 '열번호' 변수를 사용해서
열번호에 1씩 더해준 것입니다!
1번째 행의 1번 값 "연도"를 '속성' 리스트에 추가
1번째 행의 2번 값 "연평균" 을 '속성' 리스트에 추가
1번째 행의 3번 값 "봄" 을 '속성' 리스트에 추가
.
.
.
1번째 행의 6번 값 "겨울" 을 '속성' 리스트에 추가
이런 식으로 반복된 셈이죠!
저희는 이렇게 리스트에 저장하는 동작을 총 6번 해야 합니다.
여기서 6은 데이터 테이블의 열(세로줄) 개수에 해당하며,
테이블의 열 개수만큼 반복시켜 주는 것입니다.
엔트리 파일을 실행시키면
위와 같이 "속성"이라는 리스트에 '연도'부터 '겨울'까지
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~ 말하기 블록과 ~초 기다리기 블록 두 개를 추가하면
실시간으로 리스트에 속성이 추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도 있어요!
이렇게 말이죠!
이렇게 오늘은 데이터 테이블에서,
데이터 시각화 전 중요한 데이터인 '속성' 값만을
가지고 오는 실습을 진행해 보았는데요.
엔트리 블록을 통해
데이터를 다루는 방법을 공부하며
어려운 데이터 과학을 조금이나마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.
Comments